목록hash table (1)
코딩쌀롱
Mission3 (hashmap)
✏️Hashmap 특정값 → 해시함수 → 인덱스에 저장 해시 테이블은 어떤 특정 값을 받으면 그 값을 해시 함수에 통과시켜 나온 index에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시간 복잡도가 O(1)이다. 직접 주소 테이블은 값에 접근하기는 편하지만 공간 효율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저장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나머지 공간은 값은 없지만 메모리 할당된 상태 = 적재율이 낮다) 이 단점을 보완한 것이 해시 테이블이다. 해시 테이블은 직접 주소 테이블처럼 값을 바로 테이블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시 함수에 통과시켜서 사용한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지는 임의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이 때 이 함수가 뱉어내는 결과물을 해시라고 한다. 📌 hash function 아래 과정..
개발공부
2020. 12. 16. 19:10